대한신경정신의학회,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작성 및 감수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정신건강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개별 환자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울과 우울장애

감수일 2020.05.13



“아… 우울해.” 
누구나 살다 보면 한번쯤은 떠올리기도, 말로 표현하기도 하는 말입니다.
이 ‘우울한 기분’이 단순한 기분이 아니라 병적인 수준의 우울증이 되었다는 것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즐거운 일이 있을 때 즐거워하고 슬픈 일이 있을 때 슬퍼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건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일을 겪으면서 이전보다 혹은 사회 통념상 다른 사람들의 반응에 비해 지나치고
오래 우울해한다면 기분을 조절하는 데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는 특별히 슬퍼할 만한 일이 없는데도 자신의 생활에 지장을 줄 만큼 우울하다면 기분을 경험하고 표현하는 데 병이 생겼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기분 변화와 동시에 신체적, 정신적, 행동적인 변화나 어려움이 동반되면, 병적인 수준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우울증은 우울장애 또는 주요우울장애라고도 불리며, 우울감과 무기력, 즐거움 상실, 또는 짜증과 분노의 느낌을 지속해서 유발하는 ‘장애’입니다.
    기분, 생각 및 행동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정서적, 신체적 고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고 때로는 인생의 가치가 없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기분이 상하는 일이 종종 생기는 것은 인생의 일부이고, 슬프고 화나는 사건은 모두에게 일어납니다.
    그러나 주기적으로 그리고 자주 기분이 상하거나 희망이 없다면 우울증에 시달릴 수도 있습니다.

    우울증은 개인의 잘못이나 약점이 아니며, 무조건 시간이 흘러간다고 나아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생각보다는 치료 기간이 길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울증을 앓는 대부분의 사람은 약물치료, 정신치료 또는 둘 다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 우울증의 원인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제시되고 있으며, 생물학적, 심리적, 환경적인 요인들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생물학적, 심리적, 환경적인 요인들의 정보를 제공
    생물학적 차이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은 뇌의 기능적/구조적인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뇌의 화학적인 변화 뇌 내의 화학 물질인 신경전달물질이 우울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경 전달물질에 불균형이 생겨서 기분을 조절하는 신경회로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증상과 연관이 됩니다. 현재까지는 세로토닌의 역할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호르몬 신체의 호르몬 균형의 변화는 우울증의 원인이 됩니다. 임신, 출산 및 산후 문제, 갑상샘 문제, 폐경기 또는 여러 가지 다른 상태로 인한 호르몬 변화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가족력 우울증 또는 다른 기분 장애 가족력이 있는 경우 우울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습니다.
    어린 시절의 외상(트라우마) 일부 외상 사건은 신체가 두려움과 스트레스 상황에 반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건강 상태 만성 질환, 불면증, 만성 통증 또는 암과 같은 특정 상태로 인해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뇌에 악영향을 주는 약물 남용 알코올을 지나치게 사용하거나 마약류 물질로 인한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 외의 위험 요소 낮은 자존감 또는 자기 비판적인 태도, 정신 질환의 과거력, 특정 약물,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경제적인 문제, 이혼과 같은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 등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사례) 27세/취업준비생
     
    27세 A 씨는 대학 졸업 후 수년간 구직활동 중입니다. 올해는 10여 군데 회사에 지원했지만, 단 한 군데도 서류 전형조차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중, 2개월 전 결혼을 약속했던 남자 친구에게 일방적으로 이별을 통보받는 일이 생겼습니다. 평소 활발하고, 외향적이던 A 씨는, 2주일 전부터 온종일 방에 틀어박혀 좋아하던 텔레비전도 보지 않고, 말없이 눈물을 흘리거나 한숨을 쉬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입맛이 없다며 식사를 하지 않아서 체중이 줄었고, 밤에 잠을 청하려 하면 이전에 힘들었던 기억들만 떠올라 잠들 수 없었습니다. 더는 사는 재미와 의미가 없었고, 스스로 가치 없는 사람이 된 것 같았습니다.
  • 우울증은 평생 한 번만 발생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여러 번의 에피소드를 겪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 에피소드 동안 다음의 증상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우울, 슬픔, 눈물, 공허함 또는 절망감
    - 작은 문제에 대해서도 화가 나고 폭발함, 과민성 또는 좌절
    - 취미 또는 스포츠와 같은 대부분 또는 모든 정상적인 활동(성인의 경우 성생활을 포함)에 관한 관심 또는 즐거움 상실
    - 불면증이나 과도한 수면을 포함한 수면 장애
    - 피곤함과 에너지 부족으로 작은 작업이라도 상당한 노력이 필요
    - 식욕이 줄어 체중이 줄기도 하지만 식욕이 늘어 체중이 늘기도 함.
    - 불안, 안절부절못함.
    - 생각, 말하기, 신체 움직임이 느려짐.
    - 자신을 무가치하다고 느끼거나 죄책감을 느끼고, 과거의 실패나 자책에 빠짐.
    - 생각, 집중, 판단, 기억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죽음, 자살 생각, 자살 시도 또는 자살에 대한 빈번하거나 반복되는 생각
    - 병원 검사에서 설명되지 않는 허리 통증이나 두통과 같은 지속하는 통증
     
    이런 증상은 우울증을 앓고 있는 많은 사람에게 일, 학교, 사회 활동, 일상적인 활동을 포함한 많은 영역에서 눈에 띄는 문제를 일으킬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유 없이 비참하다거나 불행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소아 청소년에서의 우울 증상
    소아, 청소년의 우울 증상은 성인과 비슷하지만, 아래와 같이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린 아이들의 우울증 증상에는 우울이나 슬픔, 과민성, 칭얼댐, 걱정, 아프다고 하는 것, 학교에 가지 않으려 하는 것 또는 체중 부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경우 증상에는 우울이나 슬픔, 과민성, 부정적 및 무가치한 느낌, 분노, 성적 저하 또는 학교 출석 거부, 오해 및 극도로 민감한 느낌, 너무 많이 먹거나 자고,
    자해를 하거나, 일상에 흥미를 잃거나 사회관계를 회피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노인의 우울증 증상
    우울증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노화의 정상적인 부분이 아니며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됩니다.
    많은 경우, 노인들은 우울증을 진단받지 않고 치료하지 않으며 도움을 구하는 것을 꺼리기도 합니다.
    노인의 우울증 증상은 다음과 같이 모호할 수 있습니다.
     
    - 기억의 어려움 또는 성격 변화
    - 신체적 고통 또는 통증
    - 피로, 식욕 부진, 수면 문제 또는 성욕 저하
    - 사교 활동을 하거나 새로운 일을 하기보다는 집에서만 지냄
    - 자살에 대한 생각과 감정(특히 남성 노인에서 더 위험함.)
  • 우울증 진단을 위한 단일 검사는 없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종합적인 판단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기분, 식욕, 수면 패턴, 활동 수준, 생각에 대한 연속된 질문을 진행하며, 다음을 기반으로 우울증 진단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우울과 우울장애의 진단기준에 대한 정보
    신체검사 의사는 신체검사를 하고 건강에 관해 질문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우울증이 근본적인 신체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일반혈액검사나 갑상샘이 제대로 기능하는지 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정신의학적 평가 정신 건강 전문가는 증상, 생각, 느낌 및 행동 등에 관해 묻습니다. 이러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라는 요청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심리검사 환자 스스로 작성하는 자가보고척도와 함께, 숙련된 검사자와 진행하는 심리검사는 증상 평가와 환자가 가진 방어기제 및 내적 자원의 평가를 통해 치료계획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와 정신치료(심리치료)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효과적입니다.
치료가 증상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가능한 여러 치료 방법의 선택에 대해서는 의사와 상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벼운 우울증은 정신치료만으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우울증에서는 정신치료와 함께 약물치료가 필수적이며 그 외 비약물학적 치료를 권고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의 단계
우울증의 치료는 급성기, 지속기, 유지기 치료로 세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우울증의 치료단계에 대한 정보
급성기 치료
(2-3개월)
지속기 치료
(4-6개월)
유지기 치료
(6-24개월)
증상의 관해(약 75% 이상의 상당한 호전)를 목적으로 합니다. 관해를 유지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반복성 우울증의 경우 재발 예방을 목적으로 합니다.

치료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서 최소 3-5주간 약물을 복용할 필요가 있으며, 약의 효과는 꾸준한 약물 복용에 따르므로, 무엇보다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반응률은 50-70%에 이릅니다. 그러나, 우울증은 재발이 잦기 때문에 급성기 치료 이후에도 6-9개월간 유지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재발을 막는 방법입니다.
  • 약물치료
    우울증은 뇌에 영향을 미치므로 약물은 뇌에 작용하여 도움을 줍니다. 우울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들은 뇌에서 신경 전달 물질이라고 하는 특정 화학 물질의 균형을 맞춥니다.
    약물들은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는 여러 가지의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치료약물 종류
     
    우울과 우울장애의 치료약물 종류에 대한 정보
    항우울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등의 약물이 있으며, 뇌 신경에 작용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을 교정하여 우울증을 치료합니다. 여러 종류의 항우울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환자의 증상과 선호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항우울제는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지만, 내성과 의존이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치료 초기에 입이 마르거나, 변비, 기립성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주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치료를 중단해서는 안 되며 의사와 상의하여 부작용 대처법을 숙지하고 용량을 조정하거나 다른 약물로 교체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제 낮에 자거나 눕지 않고 활동을 늘리는 등 행동요법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불면증이 심한 경우 일시적으로 수면제를 사용하는 것이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주로 항불안제 계열의 약물이 사용되며 비습관성 수면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항불안제 동반되는 불안증 치료를 위해 우울증의 급성기 치료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중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약물은 일부 내성과 의존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문가의 처방 하에 필요량을 필요기간만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약물 찾기
    가족이 항우울제에 잘 반응했다면 그 약물이 효과가 좋을 수 있습니다. 또는 효과가 있는 약물을 찾기 전에 여러 가지 약물이나 약물의 조합을 시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일부 약물은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고 부작용이 완화되기까지 몇 주 이상이 걸리므로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갑작스러운 약물 중단의 위험성
    갑자기 약물을 중단하거나 여러 번 복용하지 않으면 금단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급작스러운 약물 중단이 우울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의사와 상의 후 점진적으로 복용량을 줄이는 것이 안전합니다.
  • 정신치료
    정신치료는 정신 건강 전문가와 심리 상태 및 관련 문제에 관해 이야기함으로써 우울증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면담치료 또는 심리치료라고도 합니다.

    인지행동치료 또는 대인관계치료 등의 다양한 유형의 정신 치료가 우울증에 효과적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유형의 치료를 추천받을 수도 있으며, 확실한 것은 정신치료가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 인지행동치료는 부정적인 신념과 행동을 파악하여 건강하고 긍정적인 행동으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어떤 생각이든 자동으로 떠오르는 부정적인 생각이 있다면, 이 생각에 관심을 집중하고 기록을 해보십시오. 머릿속에서 재빠르게 스쳐 지나가는 생각을 알아차리도록 해보십시오.
    이런 생각에 지나친 일반화 등의 인지 왜곡이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고 이런 왜곡이 어떻게 세상을 실제와는 다르게 느끼게 하는지 배우고 반복합니다.
    자신과 세상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더 합리적인 생각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 자신에게 손해가 되는 행동을 자기를 보살피는 행동으로 바꿀 수 있는지 시도해봅니다.

    다음은 인지 왜곡의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인지 왜곡의 대표적인 유형에 대한 정보
    흑백 논리 
    모든 일을 극단적으로 흑 아니면 백으로만 생각합니다.  현실적이고 균형 잡힌 생각이 아닙니다.  
    모든 게 완벽하지 않다면 자신을 완전한 실패자로 여기는 경우입니다. 
    지나친 일반화 
    하나의 부정적인 사건을 놓고, 앞으로 영원히 실패할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데이트에 실패하고 나서, 앞으로 누구도 만날 수 없을 것이라 여기는 경우입니다.
    선택적 추론
    긍정적인 경험은 무시하고 부정적인 것에만 집중합니다. 자신의 실제 경험과는 어긋나는 부정적인 신념을 유지하게 됩니다.
    자신이 잘한 것은 그냥 운이 좋아서라고 생각하지만 잘못한 것은 실력이 없다고 여기는 경우입니다.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
    자신의 실수나 타인의 성과 등의 중요성을 과장하고, 자신의 장점이나 타인의 결함은 사소한 것으로 축소합니다.
    누군가가 나를 장점을 칭찬했을 때, 그냥 인사치레라 여기는 경우입니다.
    섣불리 근거 없는 결론 내리기 
    확실한 근거가 없는데도 자의로 결론을 내리고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경우입니다.
    독심술사처럼 타인의 생각을 재단하거나, 점쟁이처럼 오지 않은 미래를 부정적으로 확고하게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감정적 추론 
    자신의 부정적 감정이 실제 현실을 반영한다고 가정합니다.
    자신을 부정적으로 여기는 느낌이 들자, 이 느낌을 근거로 그냥 사실이라 믿는 경우입니다.
    ‘해야만 한다’ 식 사고 
    ‘꼭 해야만 한다’, ‘이래서는 절대 안 된다’와 같이 매우 엄격한 목록을 가지고 자신이 정한 규칙을 지키지 않을 때면 당연히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의무와 필수는 감정을 해치는 요인이고, 이로 인해 초래되는 정서적 결과물은 자책감입니다.
    낙인찍기 
    자신의 실수나 결점을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으로 낙인을 찍어 자신을 분류합니다.
    “나는 실패자야.” “나는 낙오자야” “나는 바보야” 등으로 편견과 감정이 실린 말로 상황을 규정합니다.

    - 위기 또는 기타 현재의 어려움에 적응하는 것
    - 인간관계와 생활 경험을 살펴보고 다른 사람들과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개발함
    - 문제를 해결하는 더 좋은 방법을 찾는 것
    - 우울증에 기여하는 문제를 찾아서 악화 요인을 변화시킴
    - 삶의 만족감과 통제력을 회복하여 절망과 분노와 같은 우울증 증상을 완화.
    - 인생의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법을 익힘
    - 보다 건강한 행동을 통해 고통을 견디고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개발
  • 비약물학적생물치료
     
    우울과 우울장애의 비약물학적생물치료에 대한 정보
    전기경련요법(ECT) 일반 대중에게 선입견이 많은 치료법이지만 다양한 임상적 유용성과 안전성이 확인된 치료입니다. 이 치료는 전류가 뇌를 통과하여 뇌의 신경 전달 물질에 작용하여 우울증을 완화합니다. ECT는 일반적으로 약물치료에 익숙하지 않거나 건강상의 이유로 항우울제를 복용할 수 없거나 자살 위험이 높은 사람들에게 사용됩니다.
    경두개자기자극술(TMS) 두피에 치료기기를 대고 치료 코일이 짧은 자기 펄스를 보내서 기분 조절 및 우울증과 관련된 뇌의 신경 세포를 자극하여 효과를 나타냅니다.
     
    TMS 치료받는 그림
    <TMS 치료받는 그림>
우울증은 보통 혼자서 치료할 수 있는 장애가 아닙니다. 그러나 전문적인 치료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자신의 노력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1. 친구와 가족을 가까이 두십시오.
    강한 인간관계를 가지는 것은 우울증의 영향을 줄이고, 개인적인 만족감에도 도움이 되며, 수면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치료 계획을 지켜야 합니다.
    치료 약속을 건너뛰지 마십시오. 기분이 나아지더라도 약을 건너뛰지 마십시오. 중단하면 우울증 증상이 다시 나타날 수 있으며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기분이 나아지는 데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3. 우울증에 대해 잘 아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나의 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치료 계획을 유지하는데 동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가족이 우울증에 대해 배우고 이해하고 도울 수 있도록 격려하십시오.

    4. 경고신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증상이 악화할 경우 무엇을 할지 계획을 세우십시오. 증상이나 느낌이 변하면 의사에게 문의하시고, 가족과 가까운 사람들에게 경고신호를 알아차릴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요청하십시오.

    5. 알코올 및 마약성 약물을 피하십시오.
    알코올이나 마약성 약물이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증상을 악화시키고 우울증을 치료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알코올이나 마약성 약물 사용으로 인한 도움이 필요하면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 1. 자신을 스스로 돌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건강하고 규칙적인 식사를 하십시오. 과일, 채소, 곡물, 저지방 유제품, 살코기 등을 정기적으로 섭취하여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유지하십시오.

    2. 매일 최소한 30분의 적당한 운동을 하십시오.
    걷기, 조깅 또는 체육관 방문 등의 활동이 습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십시오.

    3. 매일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십시오.
    일관된 수면 시간표를 가지고 있으면 우울증과 수면 장애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자기 전 최소 2시간 전에 전자 장치 사용을 중단하십시오.
    휴대 전화, 태블릿 또는 TV의 푸른빛과 자극으로 인해 24시간 주기 리듬이 중단되어 잠들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도움이 되는 곳
    인터넷상에서는 대한정신건강재단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 해피마인드(http://www.mind44.co.kr)를 통해 우울증에 대한 정보와 무료상담이 가능합니다.
    또한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http://www.suicide.or.kr)를 방문하면 인터넷 채팅으로 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중앙자살예방센터(http://www.spckorea.or.kr)의 전화(1393)로 24시간 정신건강 상담이 가능하며,
    보건복지부 긴급전화(129)를 통해서도 위기 시 상담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시∙군∙구 단위에서 운영하는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하면 전문의 상담과 사례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2013.
    2. Andrade L, Caraveo‐Anduaga JJ, Berglund P, Bijl RV, Graaf RD, Vollebergh W, Dragomirecka E, Kohn R, Keller M, Kessler RC, Kawakami N. The epidemiology of major depressive episodes: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Consortium of Psychiatric Epidemiology (ICPE) Surveys. Int J Methods Psychiatr Res 2003;12:3-21.
    3. Beck AT, Rush AJ, Shaw BF, Emery G.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Guilford press;1979.
    4. Berk MI, Sarris JE, Coulson CE, Jacka FN. Lifestyle management of unipolar depression. Acta Psychiatr Scand 2013;127:38-54.
    5. Birkenhäger TK, Molemanº P, Nolens WA. Benzodiazepines for depression? A review of the. Int Clin Psychopharmacol 1995;10:181-95.
    6. Birmaher B, Ryan ND, Williamson DE, Brent DA, Kaufman J, Dahl RE, Perel J, Nelson B. Childhood and adolescent depression: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Part I. J AM ACAD CHILD PSY 1996;35:1427-39.
    7. Cho MJ, Chang SM, Hahm BJ, Chung IW, Bae A, Lee YM, Ahn JH, Won SH, Son JW, Hong JP, Bae JN.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major mental disorders among Korean adults: a 2006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9;48:143-52.
    8. Cho MJ, Nam JJ, Suh GH. Prevalence of symptoms of depression in a nationwide sample of Korean adults. Psychiatry Res 1998;81:341-52.
    9. Farah WH, Alsawas M, Mainou M, Alahdab F, Farah MH, Ahmed AT, Mohamed EA, Almasri J, Gionfriddo MR, Castaneda-Guarderas A, Mohammed K.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of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evidence map. BMJ Evid Based Med 2016;21:214-21.
    10. Furukawa TA, Streiner D, Young LT, Kinoshita Y. Antidepressants plus benzodiazepines for major depress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1.
    11. Gottfries CG.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elderly and younger patients with regard to the symptomatology and aetiology of depression?. Int Clin Psychopharmacol 1998;13:S13-S18
    12. Jacobson E. Normal and pathological moods: Their nature and functions. Psychoanal Study Child 1957;12:73-113.
    13. Jindal RD, Thase ME. Treatment of insomnia associated with clinical depression. Sleep medicine reviews. 2004 Feb 1;8(1):19-30.
    14. Kennedy SH, Lam RW, McIntyre RS, Tourjman SV, Bhat V, Blier P, Hasnain M, Jollant F, Levitt AJ, MacQueen GM, McInerney SJ, McIntosh D, Milev RV, Müller DJ, Parikh SV, Pearson NL, Ravindran AV, Uher R; CANMAT Depression Work Group. Canadian Network for Mood and Anxiety Treatments (CANMAT) 2016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Section 3. Pharmacological Treatments. Can J Psychiatry. 2016;61:540-60
    15.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and Institute of Medicine (US) Committee on Depression, Parenting Practices, and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England MJ, Sim LJ, editors. Depression in Parents, Parenting, and Children: Opportunities to Improve Identific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2009; The Etiology of Depression.
    16. Seo JS, Bahk WM, Wang HR, Woo YS, Park YM, Jeong JH, Kim W, Shim SH, Lee JG, Jon DI, Min KJ.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depressive disorders 2017: Third revision.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 2018;16:67-87.

공공누리의 제4유형 마크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의 제4유형 마크-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 금지

이전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월경 전 불쾌감 증상
다음글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시나요?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접수할 수 있습니다.

    고객문의

    Top

    빠른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