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형 양극성장애

2021.03.18 조회수:5182
1형 양극성장애

감정기복이 심한 편인데 우을증인가요? 조울증인가요? 1형 양극성장애

조을증이란? '양극성 장애'로도 불리는 조울증은 기분이 들떠 자신감이 넘치는 조증상태와 마음이 가라앉는 우을증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비정산적인 기분이 지속되는 양상을 '삽화'라고 하며 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1형 양극성장애, 경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2형 양극성 장애로 구분

원인: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 유전적 요소, 뇌의 생화학적 불균형, 스트레스, 물질남용, 일주기성 리듬 등

진단: A: 비정상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상승된, 팽창된 또는 과민한 기분과 비정상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증가된 목표지향적 활동 또는 에너지가 1주 이상, 거의 매일, 하루 중 대부분에 나타나는 뚜렷한 기간이 있다.B: 기분 장애및 증가된 에너지와 활동을 보이는 기간 중 다음 증상 가운데 세 가지 또는 그 이상이 지속되고(기분이 단지 과민하기만 하다면 네 가지 이상), 평소 모습에 비해 변화가 뚜렷하며, 심각한 정도로 나타난다. ◎ 과장된 자존심 또는 과대성 ◎수면욕구 감소 ◎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계속 말을 함 ◎사고의 비약 또는 사고가 질주하는 듯한 주관적인 경험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 지나치게 몰두

C: 기분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기능의 뚜렷한 손상을 초래할 정도로 심각하거나,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이거나 정신병적 양상이 동반되어 있다. D: 삽화가 물질의 생리적 작용의 결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니다.
(치료단계) 급성기 치료: 조증 삽화, 우울삽화 그리고 증상이 심할 경우 망상, 환청 등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다. 유지 치료 및 재발방지 치료: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상당한 기간 동안 유지 혹은 재발 방지 치료가 시행된다. 이 시기 역시 약물치료가 핵심적이며, 이와 더불어 정신치료, 가족치료가 같이 시행될 수 있다. (약물치료) 기분조절제: 1형 양극성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약제는 기분조절제이다. ◎ 리튬: 전형적인 조증삽화에 우수한 효과, 부작용: 체중증가, 진전, 오심, 소변량증가, 갑상선기능 이상, 신장기능 이상(주기적인 혈중농도 모니터링) ◎ 발프로에이트: 뇌전증을 치료하는 항경련제로 기분조절제로도 효과입증, 부작용: 졸림, 체중증가, 진전, 소화기계 증상이 있으며 드물에 간수치 이상, 혈소판 감소 유발할 수 있어 혈중농도 모니터링 카바마제핀, 라모트리진. 항정신병약물, 항우울제, 수면제, 항불안제

(약물치료) 기분조절제:1형 양극성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약제는 기분조절제이다. ◎ 리튬: 전형적인 조증삽화에 우수한 효과, 부작용: 체중증가, 진전, 오심, 소변량증가, 갑상선기능 이상, 신장기능 이상(주기적인 혈중농도 모니터링) ◎ 발프로에이트: 뇌전증을 치료하는 항경련제로 기분조절제로도 효과입증, 부작용: 졸림, 체중증가, 진전, 소화기계 증상이 있으며 드물에 간수치 이상, 혈소판 감소 유발할 수 있어 혈중농도 모니터링 카바마제핀, 라모트리진. 항정신병약물, 항우울제, 수면제, 항불안제

(정신치료) 양극성장애의 정신칠의 경우 조증삽화보다는 우울삽화에서 주로 시행한다. 환자의 개인 문제나 대인관계, 스트레스 등을 줄여 재발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정신치료에는 인지행동치료, 가족치료, 대인관계치료 등이 있으며 개인 혹은 집단으로 시행할 수 있다.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의 4유형마크_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 금지

이전글
조현병
코로나우울과 가족 갈등의 문제
다음글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시나요?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접수할 수 있습니다.

    고객문의

    Top

    빠른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