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감 경험률 11.3% - 자세히보기

게시일 2024.03.13 기준일 2022.12.31

01. 우울감 경험률 : 11.3%

지표정의

지표분류
  • 해당사항있음효과성
  • 해당사항없음효율성
  • 해당사항없음만족도
  • 해당사항없음접근성
  • 해당사항없음안전성
  • 해당사항없음적합성
  • 해당사항없음연속성
  • 해당사항없음역량
목표값
  • 해당사항없음상향
  • 해당사항있음하향
정의
성인인구 중 최근 1년 동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을 느낀 사람의 비율
 
측정산식(단위 : %)
= 최근 1년 동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을 느낀 응답자 수/만 19세 이상 조사 대상자 수 × 100
 
산식설명
♦ 우울감 경험은 자기보고식 설문방식으로 측정한 주관적인 우울증상을 의미하며, 진단받은 우울증과는 다름
♦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격년마다 조사되고 익익년 1월에 발표됨. 이에 가장 최근 발표된 2021년 결과를 사용함
♦ ʻ만 19세 이상’ 성인의 우울감 경험률은 2005년 추계인구를 활용하여 연령표준화한 값임
♦ 출처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2021년 국민건강통계

차트

데이터

정신질환군별 정신건강서비스 평생이용률, 데이터, 구분, 우울감 경험률, 2015년, 2017년, 2019년, 2021년
구분 우울감 경험률(%)
2015년 2017년 2019년 2021년
전체 13.0 11.2 10.2 11.3
남성 9.5 9.1 8.1 8.5
여성 16.5 13.4 12.5 14.1

02. OECD 국가 우울감 경험률 비교 : OECD 국가별 우울감 경험률 비교

차트

데이터

OECD 국가 우울감 경험률 비교, 스위스, 네덜란드, 덴마크, 미국, 일본, 노르웨이, 독일, 한국, 데이터, 구분, 경험률
구분 경험률(%)
스위스 4.0
네덜란드 6.9
덴마크 7.8
미국 9.0
일본 9.3
노르웨이 9.5
독일 12.4
한국 13.2
  • * 출처 : 통계청(2015), 2015년 한국의 사회동향 보도자료(2015.12.10)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의 4유형마크_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 금지

이전글
고위험 음주율 13.4% - 자세히보기
인구 10만명당 자살율 25.2명 - 자세히보기
다음글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시나요?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접수할 수 있습니다.

    고객문의

    Top

    빠른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