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의사소통의 결핍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는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지속해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1. 사회, 정서적 상호 교환성의 결핍
사회적인 접근이나, 상호작용을 전혀 시작하지 못하는 경우부터 부적절한 방식으로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것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어른이 아이와 놀아주려고 해도 미소를 짓지 않는다던가,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려는 시도가 적고 혼자서만 놀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흥미가 있는 주제에 대해서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하거나, 대화 중 상대방의 반응은 고려하지 않아 대화가 잘 이어지지 않기도 합니다.
다른 사람들과 관심사를 공유하거나, 감정을 나누는 일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2. 사회적인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결핍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영유아는 눈 맞춤이 매우 적거나, 불확실하게 혹은 드물게 눈을 맞출 수 있고,
조금 더 나이가 든 아이들은 지나치게 빤히 쳐다보는 등 부자연스러운 눈 맞춤을 하기도 합니다.
감정을 나타낼 수 있는 표정이나, 제스처 등의 사용이 적은 편입니다.
말소리의 높낮이가 단조롭고, 억양이나 리듬이 독특하거나, 목소리의 톤이 너무 높거나 낮은 모습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3. 발달 연령에 맞는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지 못함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아동은 또래에 관한 관심이 적고, 다른 아동에게 관심을 자주 보이지 않습니다.
4-5세가 지나서까지 서로 협동이 필요한 역할 놀이나, 상상 놀이를 하지 못하고, 청소년기 이후에도 다양한 관심사를 서로 나누며 깊은 우정을 맺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행동, 관심, 활동의 반복적, 상동적 양상
1. 상동적, 반복적인 움직임
의미 없이 반복되는 행동들로 손가락을 튕기거나 꼬는 것, 빙글빙글 돌기, 아래위로 뛰기 등이 흔합니다.
2. 반향어
특정한 말을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상대방의 말을 그대로 따라 하는 것 등입니다.
3. 고집스러움, 변화에 대한 저항
같은 상태를 반복하려고 하고 사소한 변화에도 몹시 거부하는 경향입니다. 아동만의 독특한 일상 규칙을 그대로 반복하려고 하거나, 집착하기도 합니다.
똑같은 스타일의 옷차림만 고수하거나, 특정 음식만을 먹으려 하기도 합니다.
4. 제한적이고 고정된 관심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아동은 매우 특이한 한 분야에 깊은 관심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정도나 집중의 대상이 독특합니다.
신호등이나 기차의 종류 등 일반적이지 않은 주제에 관해서 관심을 기울이기도 합니다.
이런 독특한 관심사는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가 어려운 특성이 있습니다.
5. 일상적인 자극에 대한 예민성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평범한 자극에 대해 지나치게 예민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면대의 물소리나 진공청소기의 소리를 매우 싫어할 수 있습니다. 혹은 통증 자극 등에 둔감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물건의 본래 기능이 아닌 다른 감각들에 더 관심이 많아서, 사물의 냄새를 계속 맡거나, 혀로 맛을 보려고 하는 모습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6. 지능과 인지적 결손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사람의 70-75%는 지적 장애를 동반하고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위험징후
- 생후 24개월 이전에 눈 맞춤과 사회적 미소를 보이지 않는 것
- 이름을 불러도 돌아보지 않는 것
-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제스처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
- 성인의 행동을 따라 하지 않는 것
- 관심을 공유하려는 시도에 반응하지 않거나, 스스로 관심을 유도하려는 행동(보여주기, 가리키기 등)을 하지 않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