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정신의학회,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작성 및 감수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정신건강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개별 환자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1형 양극성장애

감수일 2020.05.11


‘난 감정 기복이 심한 편인데 우울증인가요? 조울증인가요?’

진료실에서 흔히 이러한 질문을 받기도 하며 일상에서 서로 이러한 이야기들을 나누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우울증이라는 진단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반면,
조울병, 양극성장애라는 진단은 한번쯤 들어본 적은 있으나 정확히 어떤 질병인지 혹은 우울증과 어떻게 다른지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우울증과 같은 질병으로 인식되기도 하는데 이는 조울병의 특성상 조울병으로 진단받기 전 우울증이 선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우선 조울병은 우울증과 함께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기분장애에 속하는 질환이며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에서는 양극성장애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양극성장애로 용어를 통일하여 사용하려고 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비정상적인 기분이 지속되는 양상을 ‘삽화’라고 합니다.
    조울병은 1번 이상의 경조증삽화 또는 조증삽화를 경험하는 경우 양극성장애로 진단하며, 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1형 양극성장애, 경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2형 양극성장애로 구분합니다.
    이 장에서는 1형 양극성장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형 양극성장애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번 이상의 조증삽화를 경험할 때 진단할 수 있습니다.
    1형 양극성장애는 먼저 우울삽화를 1번 이상 경험하고 수개월에서 수년이 경과한 후 조증삽화를 경험한 뒤 양극성장애로 진단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기 첫 우울증을 경험한 환자의 20-32%, 초기 성인기에 첫 우울증을 경험한 환자의 5-15%가 추후 양극성장애로 진단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사람에 따라 조증삽화만을 경험하는 경우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조증삽화를 경험하는 경우 스스로 고양된 기분을 알아채기 힘들며, 먼저 가족들이나 주변 사람들이 이전과 비교하여 달라진 환자의 모습에 대해 걱정하고 염려하게 됩니다.
    전형적인 조증삽화의 경우 초기에 행복감, 자신감에 심취하게 되며 이후 과민한 양상으로 변하게 됩니다.
    환자는 머릿속에서 생각들이 쉴 새 없이 떠오르고 모든 일들이 다 잘 될 것이라는 생각에 빠져 무리한 계획들을 세우고 이를 진행하기 위해 주변 사람들과 심각한 갈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간혹 주변의 만류에 환자 스스로 자신을 통제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어 결국에는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양극성 장애'로도 불리는 조울증은 기분이 들떠 자신감이 넘치는 조증상태와 마음이 가라앉는 우울증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그래프
     
    조울증이란?
    '양극성 장애'로도 불리는 조울증은 기분이 들떠 자신감이 넘치는 조증상태와 마음이 가라앉는 우울증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 우선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양극성장애의 원인을 한두 가지로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러 연구들에서 양극성장애는 뇌세포의 기능과 연결 회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스트레스에 취약한 경우가 많지만
    스트레스 자체를 양극성장애의 원인으로 규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결국 유전적으로 양극성장애에 취약한 사람이 과도한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면 뇌의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어 양극성 장애가 발병할 수 있습니다. 
     
    양극성 장애 원인에 대한 정보
    유전적인 요소 가족들 중에 양극성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기분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가족들 중에 양극성장애 환자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양극성장애가 발병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뇌의 생화학적 불균형 뇌 활동에 필수적인 신경전달물질의 대사나 활성이 원활하지 않은 것이 양극성장애 발병 원인 중의 하나입니다. 우리 뇌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도파민, 노르에프네프린, 세로토닌, 글루탐산, 아세틸콜린 등이 있는데, 양극성장애 환자들에서 이러한 신경전달물질들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부족한 경우들이 보고되었습니다.  
    스트레스 장기적으로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스트레스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코티졸 과다분비로 감정조절 및 수면의 이상을 일으키며 이는 양극성장애를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물질남용 흔히 알코올 내지 일부 약물들을 오남용하면 기분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 중 양극성장애에 해당하는 조증삽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에 해당되는 약물로는 항파킨슨약물, 갑상선호르몬제, 정신자극제, 스테로이드제, 일부 항생제와 근이완제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양극성장애는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발병할 수 있으며 그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로 인해 치료에 있어 원인으로 지목된 요인들을 적절하게 교정해야 우수한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뇌의 생화학적 불균형은 약물치료로 조절하고,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며, 양극성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나 약물 사용을 신중히 하는 등 다방면의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일주기성 리듬 사람의 수면-각성을 포함하여 소화기, 내분비, 심혈관계 등 여러 신체 기관은 약 24시간의 주기성을 보이는데, 이를 일주기성 리듬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잠을 오랫동안 못 자게 하는 수면박탈을 하면 기분이 좋아져서 우울증 환자에서는 기분의 호전을 보이며, 양극성장애 환자에서는 조증삽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양극성장애의 발병이 계절 변화와 연관되어 일어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일주기성 리듬의 조절 이상이 양극성장애의 발생이나 증상의 변화에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 전형적인 1형 양극성장애 유병률은 1% 내외로 알려져 있으나 2형 양극성장애, 기분순환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양극성장애 등까지
    모두 포함하는 양극성 범주 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4% 내외로 1형 양극성장애보다 훨씬 높아서 이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습니다.
    1형 양극성장애는 남녀의 유병률이 같으며 평균 발병연령은 30세 혹은 그 이전으로, 주요우울장애의 평균 발병연령인 40세보다 조기에 발병합니다.

    양극성장애에서 기분증상과 더불어 인지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연구마다 차이는 있지만 약 15-60%에서 인지증상이 동반된다고 합니다.
    그 증상으로는 언어 작업기억의 어려움, 행동계획을 수립하는데 어려움, 우선순위 결정에 대한 어려움, 둔하거나 느려지는 사고과정 등이 있습니다. 
  • 사례) 29세/A씨

    29세 A씨는 1개월 전부터 이전과 달리 갑자기 기분이 좋아지는 느낌이 들고 의욕이 생기면서 학원을 다니고 밤늦게까지 공부도 열심히 하였습니다. 잠을 2-3시간 밖에 자지 않았지만 전혀 피곤하지 않았고, 평소 잘 연락하지 않던 친척과 친구들에게 연락해서 자신의 계획에 대해 장황하게 이야기를 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가족들이 과도하게 변한 A씨의 모습에 걱정하였지만 A씨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이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에 대해 늘어놓고 갑자기 값비싼 물건을 사고 과도한 치장을 하며 과음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A씨는 술을 마시면 주변 사람들과 싸움이 일어나 여러 번 경찰서에 가게 되었고 1달 만에 수백만 원 이상의 돈을 사용하여 경제적으로 곤란한 상황도 겪게 되었습니다. A씨는 과거 고등학교 시절 따돌림으로 인해 힘든 시기를 보냈습니다. 다른 학교로 전학을 하였지만, 또 다시 반복되는 따돌림으로 인해 우울증이 심해졌고, 정신과 치료는 받지 않았습니다. A씨는 우여곡절 끝에 대학에 진학하였지만, 학업이 적성에 맞지 않고 대인관계에서도 자신감이 떨어져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였고 휴학과 복학을 반복하였습니다. A씨는 휴학을 결정할 때는 항상 우울감이 심해져 의욕이 없고 흥미도 느끼지 못하는 증상들을 경험하였습니다. A씨는 2년 전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준비하였지만, 반복적으로 취업에 실패하여 좌절을 경험하였으며 6개월 전에는 유일하게 알고 지내던 친구가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는 바람에 상실감이 커져 다시 우울감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결국 A씨는 가족들의 권유로 거주지 근처의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2개월 정도 치료를 받았으나 치료 기간 동안 약 복용도 불규칙적으로 하였고 병원 방문도 잘 하지 않았습니다.
  • - 과도하게 자신감이 넘쳤다가 자책감이나 절망감에 빠진다.
    - 평소보다 수면이 줄어들어도 전혀 피곤하지 않다.
    - 극단적으로 생각을 하거나 충동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한다. 
    - 부산하고 산만해져 일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 자극적인 것을 추구하여 손해 보는 일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 말을 너무 많이 하지만 주제가 자주 바뀌어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 평소보다 주변 사람들과 자주 다툰다. 
    - 감정 변화가 자주 일어나 주변 사람들이 걱정을 한다. 
    - 도박, 술, 성관계 등 쾌락적인 일에 몰두한다. 

    위와 같은 증상들이 개인 활동, 사회 활동, 대인관계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이로 인해 뚜렷한 사회, 직업적 기능의 손상을 초래하거나 자신 혹은 타인에게 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양극성장애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의 면담에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일생에 걸쳐 조증삽화를 한 번이라도 경험한 경우 1형 양극성장애를 진단할 수 있으며,
    진단기준은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에 따릅니다. 

    조증삽화의 DSM-5 진단 기준
    A. 비정상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상승된, 팽창된 또는 과민한 기분과 비정상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증가된 목표 지향적 활동
    또는 에너지가 1주 이상, 거의 매일, 하루 중 대부분에 나타나는 뚜렷한 기간이 있다. 

    B. 기분장애 및 증가된 에너지와 활동을 보이는 기간 중 다음 증상 가운데 세 가지 또는 그 이상이 지속되고
    (기분이 단지 과민하기만 하다면 네 가지 이상), 평소 모습에 비해 변화가 뚜렷하며, 심각한 정도로 나타난다. 
     
    - 과장된 자존심 또는 과대성
    - 수면욕구 감소
    - 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계속 말을 함
    - 사고의 비약 또는 사고가 질주하는 듯한 주관적인 경험
    - 주관적으로 느끼거나 객관적으로 관찰되는 주의산만
    - 목표 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운동성 초조
    -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 지나치게 몰두
      
    C.  기분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기능의 뚜렷한 손상을 초래할 정도로 심각하거나,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입원이 필요한 경우이거나 정신병적 양상이 동반되어 있다. 

    D.  삽화가 물질의 생리적 작용의 결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니다. 
  • 1형 양극성장애 진단을 위해서 여러 가지 검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우선 진단을 보완하기 위한 설문도구들이 있습니다.
    1형 양극성장애를 선별하기 위한 여러 설문도구 가운데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은 한국판 조울병 선별검사지(Korean Mood Disorder Questionnaire, K-MDQ)입니다.
    (표1) 한국판 조울병 선별검사지 영역 1의 13개 문항 중 7개 이상에서 ‘예’라고 대답할 경우 전문가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표1) 한국판 조울병 선별검사지(Korean-version of Mood Disorder Questionnaire, K-MDQ)
     
    1형 양극성장애를 선별하기 위한 설문지
    영역 항목
    영역 1 1. 기분이 너무 좋거나 들떠서 다른 사람들이 평소의 당신 모습이 아니라고 한 적이 있었다. 또는 너무 들떠서 문제가 생긴 적이 있었다.
    2. 지나치게 흥분하여 사람들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싸우거나 말다툼을 한 적이 있었다.
    3. 평소보다 더욱 자신감에 찬 적이 있었다.
    4. 평소보다 더욱 잠을 덜 잤거나, 또는 잠잘 필요를 느끼지 않은 적이 있었다.
    5. 평소보다 말이 더 많았거나 말이 매우 빨랐던 적이 있었다.
    6. 생각이 머릿속에서 빠르게 돌아가는 것처럼 느꼈거나 마음을 차분하게 하지 못한 적이 있었다.
    7. 주위에서 벌어지는 일로 쉽게 방해받았기 때문에, 하던 일에 집중하기 어려웠거나 할 일을 계속하지 못한 적이 있었다.
    8. 평소보다 더욱 에너지가 넘쳤던 적이 있었다.
    9. 평소보다 더욱 활동적이었거나 더 많은 일을 하였던 적이 있었다.
    10. 평소보다 더욱 사교적이거나 적극적(외향적)이었던 적이 있었다(예: 한밤중에 친구들에게 전화하기).
    11. 평소보다 더욱 성행위에 관심이 간 적이 있었다.
    12. 평소의 당신과는 맞지 않는 행동을 했거나, 남들이 생각하기에 지나치거나 바보 같거나 또는 위험한 행동을 한 적이 있었다.
    13. 돈 쓰는 문제로 자신이나 가족을 곤경에 빠뜨린 적이 있었다.
    영역 2 만약 위의 질문 중에서 하나 이상 "예"라고 했다면, 그중 몇 가지는 같은 시기에 벌어진 것입니까?
    1) 예
    2) 아니오
    영역 3 이러한 일들로 인해서 어느 정도의 문제가 발생했습니까?
    예를 들어 일할 수 없었다, 금전적 문제, 법적 문제 또는 가족 내에 분란이 생겼다, 말다툼하거나 싸웠다 등. (다음 중 하나만 표시하십시오.)
    1) 문제없었다
    2) 경미한 문제
    3) 중등도의 문제
    4) 심각한 문제

    K-MDQ 이외에도 양극성장애의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Young 조증평가척도(Young Mania Rating Scale, YMRS)가 있습니다.
    이 도구를 통하여 조증 증상의 심각도를 판별하고 치료 이후 증상의 호전 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 외 갑상선 기능 이상이 기분장애를 초래할 수 있어 갑상선 호르몬 검사를 고려하며, 뇌의 질환이나 손상으로 인해 기분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뇌 CT 혹은 MRI 등의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정신역동 및 사회적 원인에 의해 기분장애가 발병할 수 있어 임상심리검사 실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임상적 특성을 통해 양극성장애로의 진행 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이 이른 나이에 발병하는 경우, 산후 우울증, 단기적이고 반복된 우울삽화,
    계절에 따른 기분삽화, 비전형적 양상의 우울증 등이 있을 때 양극성장애의 이환 가능성을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1형 양극성장애의 치료는 다양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치료는 약물치료입니다. 그 외에도 정신치료, 가족치료, 전기경련치료 등 여러 치료들이 있습니다. 

치료 단계
1형 양극성장애의 치료는 다른 기분장애와 마찬가지로 급성기 치료와 유지 치료 및 재발 방지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1형 양극성장애의 단계치료
급성기 치료 1형 양극성장애의 급성기에는 조증삽화, 우울삽화 등의 기분증상과 더불어 증상이 심할 경우 망상, 환청 등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증상에 맞는 약물 치료가 우선 시행됩니다. 
유지 치료 및 재발 방지 치료 급성기 증상이 호전되면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상당한 기간 동안 유지 혹은 재발 방지 치료가 시행됩니다. 이 시기 역시 약물치료가 핵심적이며, 이와 더불어 정신치료, 가족치료가 같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기분이 안정된 이후 재발 방지 치료가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양극성장애의 특징 상 재발이 반복되면 안정된 기분을 갖는 기간이 점점 줄어들고,  뇌기능의 손상도 동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약을 줄이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할 경우 담당 주치의와 긴밀한 상의가 필요합니다.
  • 약물치료 
    1형 양극성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약제는 기분조절제입니다. 최근에는 1형 양극성장애 치료에 허가를 받은 몇 가지의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기분증상 이외의 동반된 증상이나 치료 반응에 따라 항우울제, 수면제, 항불안제, 정신자극제 등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형 양극성장애 치료를 위한 약물
    기분조절제 가장 대표적인 기분조절제로는 리튬이 있습니다. 리튬은 1950년대 처음 양극성장애 치료에 효과를 인정받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전형적인 조증삽화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리튬은 약물의 특성상 혈중농도가 일정수준으로 유지 되어야 적절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리튬의 혈중농도가 너무 높으면 부작용이 발생하고 너무 낮으면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혈액검사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리튬의 혈중농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리튬의 흔한 부작용으로 체중증가, 진전, 오심, 소변량 증가, 갑상선기능이상, 신장기능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리튬은 치료에 유효한 혈중농도 범위가 좁기 때문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혈중농도 상승이 리튬 독성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튬은 치료효과 뿐만 아니라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인 혈중농도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독성증상이 의심된다면 약물을 중단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항경련제 계통의 기분조절제가 있습니다. 우선 리튬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발프로에이트 입니다. 이 약물은 원래 뇌전증을 치료하는 항경련제로 여러 연구에서 기분조절제로도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특히 조증삽화, 급속순환형 양극성장애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흔한 부작용으로 졸림, 체증증가, 진전, 소화기계 증상 등이 있으며 드물게 간수치 이상, 혈소판 감소를 유발할 수 있어 주기적인 혈액검사를 통해 약물농도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 외 카바마제핀, 라모트리진 등의 약물이 있습니다. 카바마제핀의 경우 발프로에이트와 마찬가지로 조증삽화, 혼재성 양상에 모두 효과적이며 부작용으로 졸림, 소화기계 증상이 있을 수 있고, 골수 억제와 간독성의 위험성으로 인해 일정기간마다 혈액검사가 필요합니다. 라모트리진의 경우 다른 기분조절제와 달리 양극성장애 우울삽화의 급성기 및 유지치료에 효과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작용으로 발진 등의 심각한 피부 질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항정신병약물 기분조절제와 더불어 1형 양극성장애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로 항정신병약물이 있습니다. 항정신병약물의 주된 효과는 환청, 망상 등 정신병적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이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우울증이나 양극성장애 등 기분장애 치료에도 그 효능이 입증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아리피프라졸(경구제, 장기지속형 주사제), 올란자핀, 쿼티아핀, 리스페리돈, 지프라시돈 등이 FDA에서 양극성장애 치료에 사용 승인을 받았으며, 치료가 잘 되지 않는 양극성장애에서는 클로자핀과 아리피프라졸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항정신병약물의 부작용으로 졸림, 근긴장이상, 떨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각 약물마다 특징적인 부작용이 있어 사용하는 약물에 따라 주치의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항우울제 우울증의 우울삽화와 다르게 양극성장애의 우울삽화는 그 증상이 심할 경우가 많으며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도 낮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기분조절제 및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우울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조심스럽게 항우울제를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항우울제를 사용할 경우 조증/경조증삽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수면제, 항불안제 양극성장애에서 불면, 불안 등의 증상이 매우 흔히 동반합니다. 따라서 증상에 맞게 수면제, 항불안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면제, 항불안제 약물의 특성상 의존성이 높은 약물들이 있어 단기간 증상의 회복을 위해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 정신치료
    양극성장애의 정신치료의 경우 조증삽화 보다는 우울삽화에서 주로 시행합니다. 환자의 개인 문제나 대인관계, 스트레스 등을 줄여 재발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신치료에는 인지행동치료, 가족치료, 대인관계 치료 등이 있으며 개인 혹은 집단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전기경련치료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우울삽화 혹은 조증삽화가 있을 때 전기경련치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자살 위험이 높거나, 임신으로 인하여 약물 사용이 어려운 경우 전기경련치료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양극성장애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재발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양극성장애는 재발을 잘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재발을 많이 할수록 병의 경과 및 예후가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약물치료를 꾸준히 받는 것이 재발을 막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평소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합니다. 
  • 도움이 되는 곳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중앙자살예방센터(http://www.spckorea.or.kr)의 전화(1393)로 24시간 정신건강상담이 가능하며,
    보건복지부 긴급전화(129)를 통해서도 위기 시 상담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시∙군∙구 단위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하면 전문의 상담과 사례관리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1. 양극성장애를 조절하기 위해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병에 대해 정확하게 아는 것이 증상에 적절히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에 대해 전문가와 지속적으로 상의를 하고 자신만의 특성을 아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전문가와 충분한 상의가 이루어졌다면 약을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복용하고 부작용 발생 시 전문가와 즉시 상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기분증상과 이와 동반된 부수적인 증상을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명백하게 조증이나 경조증, 우울증이 나타날 때까지 기분의 변화를 알아채기는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기분변화, 수면의 패턴, 에너지의 수준, 생각의 변화 등을 면밀하게 관찰하여 변화가 있을 시 전문가와 상의를 한다면 증상의 악화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법을 미리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
    스트레스는 양극성장애 환자의 재발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양극성장애 환자는 가정이나 직장,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한계를 파악하고, 만약 압도감을 느끼게 되면 무리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명상이나 심호흡 등 휴식을 취하는 방법을 배운다거나 여가 시간을 만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일상생활을 규칙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잠드는 시간, 일어나는 시간, 식사, 운동, 약물 복용 시간 등 매일 해야 하는 활동이 규칙적으로 유지될 때 재발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4. 조증이나 경조증, 우울증 등의 징후를 발견하면 즉시 대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정된 기분을 유지하거나 기분이 나빠졌을 때 회복하기 위한 대처기술이나 활동을 마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개인마다 선호하는 활동이 각각 다르고, 즉각적으로 대처해야 할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신만의 대처 방안을 전문가와 상의하여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5. 비상시에 도움을 청할 사람이나 기관을 정해 놓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비상시에는 혼란을 겪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신속하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나 기관을 정해 놓으면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2013.
    2. Axelson D, Goldstein B, Goldstein T, Monk K, Yu H, Hickey MB, et al. Diagnostic Precursors to Bipolar Disorder in Offspring of Parents With Bipolar Disorder: A Longitudinal Study. Am J Psychiatry. 2015;172(7):638-646.  
    3. Frey BN, Andreazza AC, Houenou J, Jamain S, Goldstein BI, Frye MA, et al. Biomarkers in bipolar disorder: a positional paper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Bipolar Disorders Biomarkers Task Force. Aust N Z J Psychiatry. 2013;47(4):32132. 
    4. The Columbia Bipolar Genetic Study. Bipolar disorder and genetics. Available at http://bipolar.hs.columbia.edu/disgenet.htm. Accessed: March 13, 2013.
    5. Hashimoto K, Sawa A, Iyo M. Increased levels of glutamate in brains from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Biol Psychiatry. 2007;62(11):13106
    6. Yatham L. Newer anticonvulsants in the treatment ofbipolar disorder. J Clin Psychiatry 2004;65 (Suppl. 10):28–35.
    7. Licht R, Vestergaard P, Kessing L, Larsen J, Thomsen P.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with lithium and antiepileptic drugs: suggested guidelines from the Danish Psychiatric Association and the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Association in Denmark. Acta PsychiatrScand Suppl. 2003;419: 1-22
    8. Zaretsky A. Targeted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bipolar disorder. Bipolar Disord. 2003;5:80–87.
    9. Gonzalez-Pinto A, Gonzalez C, Enjuto S, Fernandez de Corres B, Lopez P, Palomo J, et al. Psycho education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bipolar disorder: an update. Acta Psychiatr Scand. 2004;109:83–90. 
    10. Jones S. Psychotherapy of bipolar disorder: a review. J Affect Disord 2004; 80(2-3):101–114. 
    11. Yatham L, Kusumakar V, Parikh S, David RS Haslam, Raymond Matte, Verinder Sharma, et al. Bipolar depression: treatment options. Can J Psychiatry. 1997;42(Suppl. 2):87S–91S. 
    12. Colom F, Vieta E, Reinares M Martínez-Arán A, Torrent C, Goikolea JM, et al. Psychoeducation efficacy in bipolar disorders: beyond compliance enhancement. J Clin Psychiatry. 2003;64:1101-1105. 
    13. Swartz H, Frank E. Psychotherapy for bipolar depression: a phasespecific treatment strategy? Bipolar Disord. 2001;3:11-22. 
    14. Rucci P, Frank E, Kostelnik B, Fagiolini A, Mallinger AG, Swartz HA, et al. Suicide attempts in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during acute and maintenance phases of intensive treatment with pharmacotherapy and adjunctive psychotherapy. Am J Psychiatry. 2002;159:1160– 1164.

공공누리의 제4유형 마크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의 제4유형 마크-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 금지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2형 양극성장애
다음글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시나요?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접수할 수 있습니다.

    고객문의

    Top

    빠른 메뉴